Booktandard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

안녕하세요, 북탠다드입니다.
독서토론은 좋은 질문과 함께할 때 더욱 즐겁습니다.
발제문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참여자들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사고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발제문

작별하지 않는다 대하여

‘작별하지 않는다’는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국내 작가 ‘한강’의 소설입니다. 이 책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를 거쳐, 1954년 9월 21일까지 무려 7년 7개월에 걸쳐 제주도에서 일어난 ‘제주 4.3’ 사건을 다룹니다. 이 작품은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실제 해당 사건의 피해자의 구체적인 삶을 그려냄으로써, 역사적 비극과 개인의 상처를 사실적으로 묘사합니다.

작별하지 않는다 주요 내용

주인공 경하는 오래된 친구 인선의 부탁으로 갑작스럽게 제주도로 향합니다. 인선의 집으로 향하던 중 폭설과 강풍을 마주한 경하는, 악천후를 뚫고 가까스로 인선의 집에 도착합니다. 지친 경하는 교통이 마비되어 머무르게 된 인선의 집에서 꿈과 환상을 통해 인선과 인선의 어머니가 겪었던 제주 4.3 사건의 비극을 마주합니다. 그녀는 해당 사건으로 오빠를 잃고 수 십년 동안 실종된 오빠를 찾기 위해 노력한 인선의 어머니 ‘정심’의 가족사와 이유도 모른채 감옥에 갇혀 희생당한 피해자들, 총상을 당하고 갱도에 갇혀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까지 잔혹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학살당한 무고한 피해자들의 이야기에 대하여 알게 됩니다.

작별하지 않는다 발제문 질문

  1.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무엇을 전달하려 했다고 생각하나요?
  2. 작품 속 인물들의 고통은 개인적인 동시에 집단적입니다. 개인과 집단의 고통은 서로 어떤 방식으로 구분되거나 연결될까요?
  3. 소설 속 인물들이 겪는 상실은 단순히 개인적인 감정일까요, 아니면 더 넓은 사회적 상실을 의미할까요?
  4. 인선 어머니의 생존은 그녀에게 축복일까요, 아니면 또 다른 고통일까요? 그녀의 생존자로서의 삶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5. 과거의 고통과 상처를 말하는 작품이지만, 소설은 동시에 희망과 회복을 다루고 있다고 생각하나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6. 한강의 문체는 서정적이고 시적입니다. 이러한 문체가 작품의 주제와 감정 전달에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7. 한강 작가가 소설을 통해 역사를 기록하는 방식이 다른 작가와 소설과 차이가 있다면 어떤 점인가요?
  8. 제목 “작별하지 않는다”는 소설의 주제를 어떻게 상징한다고 생각하나요? 작별하지 않는다는 말의 대상은 무엇일까요?
  9. 작가의 말에 실린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길 빈다’라는 표현은 어떤 의미일까요?
  10. 우리나라 역사 속 비극적 사건들은 어떻게 다뤄져야 할까요?
  11. 가장 인상깊었던 장면이 있었다면 어느 부분인가요?

작별하지 않는다 발제

발제문 내용은 독서 모임 운영자 및 참여자 분들에 한해 모임 진행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외 다른 목적의 무단 복제 및 배포는 원칙적으로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