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tandard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안녕하세요, 북탠다드입니다.
독서토론은 좋은 질문과 함께할 때 더욱 즐겁습니다.
발제문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참여자들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사고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발제문

  1. 책에 대한 전반적인 감상은 어떠했나요?
  2. 저자는 현대 사회의 사랑을 상품화하는 경향을 지적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나요? 이러한 사회 흐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3. 프롬의 (대중적인) 로맨틱 사랑에 대해 제기한 비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4. 프롬이 이야기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사랑하는 능력보다 사랑받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는 의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5. 프롬은 사랑을 지식과 노력이 필요한 기술의 영역으로 설명합니다. 이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6. 프롬은 모성애, 형제애, 에로스(성적 사랑) 등 다양한 유형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책의 내용 중 어떤 유형의 사랑이 가장 공감되었나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7. 저자는 사랑을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의 삶과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으로 정의합니다. 이 정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8. 저자는 자기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를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의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9. 프롬은 사랑이 개발될 수 있는 능력(기술)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의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그리고 이 능력은 어떻게 기르고 발전시킬 수 있을까요?
  10. 프롬은 사랑에는 자기훈련, 집중, 인내, 신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사랑을 위해서는 이러한 능력들이 모두 필요할까요?
  11. 저자에 따르면 사랑하는 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먼저 깊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사랑을 위한 이러한 자기 이해는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것이 관계에 어떤 이점을 가져다줄까요?
  12. 스스로는 사랑에 대하여 어떻게 정의하고 있나요?(혹은 정의해 왔나요?)
  13. 에리히 프롬의 관점에서 ‘사랑’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14. 책을 읽고 나서, 사랑에 대한 기존의 정의가 바뀌거나 변한 부분이 있나요?
  15. 책에서 가장 좋았던 구절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었나요?

발제문 내용은 독서 모임 운영자 및 참여자 분들에 한해 모임 진행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외 다른 목적의 무단 복제 및 배포는 원칙적으로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