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에 대한 전반적인 감상은 어떠했나요?
- 저자는 현대 사회의 사랑을 상품화하는 경향을 지적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고 있나요? 이러한 사회 흐름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 프롬의 (대중적인) 로맨틱 사랑에 대해 제기한 비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프롬이 이야기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사랑하는 능력보다 사랑받는 것에 더 관심이 있다.’는 의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 프롬은 사랑을 지식과 노력이 필요한 기술의 영역으로 설명합니다. 이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 프롬은 모성애, 형제애, 에로스(성적 사랑) 등 다양한 유형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책의 내용 중 어떤 유형의 사랑이 가장 공감되었나요?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저자는 사랑을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의 삶과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으로 정의합니다. 이 정의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 저자는 자기 사랑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른 사람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를 사랑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의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 프롬은 사랑이 개발될 수 있는 능력(기술)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의견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나요? 그리고 이 능력은 어떻게 기르고 발전시킬 수 있을까요?
- 프롬은 사랑에는 자기훈련, 집중, 인내, 신념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사랑을 위해서는 이러한 능력들이 모두 필요할까요?
- 저자에 따르면 사랑하는 능력을 갖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먼저 깊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합니다. 사랑을 위한 이러한 자기 이해는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것이 관계에 어떤 이점을 가져다줄까요?
- 스스로는 사랑에 대하여 어떻게 정의하고 있나요?(혹은 정의해 왔나요?)
- 에리히 프롬의 관점에서 ‘사랑’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 책을 읽고 나서, 사랑에 대한 기존의 정의가 바뀌거나 변한 부분이 있나요?
- 책에서 가장 좋았던 구절이 있다면 어떤 부분이었나요?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
안녕하세요, 북탠다드입니다.
독서토론은 좋은 질문과 함께할 때 더욱 즐겁습니다.
발제문에 대하여 이야기하며 참여자들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사고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발제문

발제문 내용은 독서 모임 운영자 및 참여자 분들에 한해 모임 진행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외 다른 목적의 무단 복제 및 배포는 원칙적으로 금합니다.